<p></p><br /><br />이번엔 전운이 감도는 우크라이나로 가보겠습니다.<br> <br>러시아와 서방이 힘겨루기를 하는 사이, 언제 전쟁터로 바뀔지 모르는 국경지대 사람들은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요.<br> <br>채널에이가 직접 찾아가서 듣고 왔습니다.<br><br><세계를 가다> 김윤종 특파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러시아 접경으로 향하는 길. <br> <br> 수 킬로미터를 더 이동해야 검문소가 나오지만 화물차 행렬은 이미 길게 늘어섰습니다. <br><br> 전운이 감돌자양국을 오가던 물류들이 멈춰선 겁니다. <br><br>국경수비대는 철통 경계 태세입니다. <br><br>“제 뒤로 보이는 건너편은 러시아 영토입니다. <br> <br>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이 추진되면 대규모 침공을 하겠다고 위협하고 있습니다.” <br> <br> 국경과 30km 떨어진 우크라이나 제2 도시 하르키우. <br> <br> 겉으로 평온해보이지만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 대한 시민들의 반감은 깊숙히 자리잡았습니다. <br> <br>[베로니카 / 하르키우 시민] <br>“평화롭고, 안전한 나라에서 살고 싶어요. 나토 가입으로 안전해진다는 보장이 있으면 가입해야 할 거 같아요.”(1~13초) <br> <br> 도심 곳곳에는 푸틴을 규탄하는 집회가 열리고 그를 저주하는 사진도 보입니다. <br><br>“러시아 국경도시 하르키우 곳곳에는 이처럼 러시아 푸틴 대통령을 비판하는 사진들이 붙어있습니다.” <br> <br> 1991년 옛 소련에서 탈퇴한 연방국들 가운데 하나인 우크라이나.<br><br> 러시아, 프랑스에 이어 유럽에서 세번째로 넓은 영토를 가진 우크라이나는 흑토에서 나오는 곡물과 지정학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어 같은 슬라브 민족인 러시아가 탐내는 국가입니다. <br><br>[키릴 / 하르키우 시민] <br>"저는 러시아어 우크라이나 어를 다합니다. 우리는 전쟁을 원하지 않습니다." <br><br> 8년 전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강제병합한 뒤 동남부 지역에선 정부군과 친러 반군의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. <br><br>[마리야 / 하르키우 시민] <br>“부모님이 친 러시아 반군과 정부군 교전지역에 사십니다. 부모님을 만날 수 없고 무서워요. (전쟁이) 걱정됩니다.”(20~29초) <br> <br> 오랜 내전에 돈바스 지역 주택가는 폐허가 됐고 곳곳에 탄흔이 선명합니다. <br> <br> 주민들은 국경을 맞대고 대치하는 양측이 한때 형제국이었던 상대국을 짓밟는 비극이 반복되지 않길 기원합니다. <br> <br>[타마라 / 돈바스 주민] <br>"우리 가족들이 여기 오려면 쉽게 올 수 있어요. 보고 싶지만 (전쟁 걱정 때문에) 오지 못해요." <br> <br> 우크라이나 하르키우에서 채널A 뉴스 김윤종입니다.